[회고]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8기 챌린지 2주차
서론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8기 2주차가 마무리됐습니다.
2주차에는 새로운 동료들과 함께 새로운 미션들을 해결해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인상깊었던 것은 제 코드를 동료들에게 소개하는 경험, 여러 주요한 CS지식에 대해 학습할 수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이번 회고에서는 위의 경험들을 중점으로 KPT 방식의 회고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cf. 회고 특성상 평소의 경어체가 아닌 평어체로 작성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KPT
KEEP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목적을 가지고 학습하기
이번 주는 저번 주 회고에서 목표했던 것처럼 목적을 가지고 학습하고자 노력하였다. 시도한 노력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학습 키워드를 정하고 이를 학습 일지에 기록한 것이다. 학습 키워드를 정하자 학습 시간을 유의미하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CS를 공부하다보면, 하나의 지식은 반드시 다른 지식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을 하다 다른 길로 새는 일이 잦았고, 이는 학습 시간을 무한정 늘린다는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학습 키워드를 명시해놓고 이를 주의하며 학습하니, 해당 키워드에서 벗어난 학습을 자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동일 내용 대비 학습 시간 단축으로 이어졌다.
다만 이렇게 학습 시간을 단축해도 여전히 미션을 다 해결하지 못했는데, 이 문제는 아래의 Problem에서 언급할 계획이다.
PROBLEM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미션을 다 해결하지 못한 것
이번 주는 미션을 다 해결한 적이 거의 없다. (사실 저번주도 그렇다 하핫) 학습 시간에 너무 많은 시간을 쓴 나머지 구현의 시간이 부족한 것인가..? 라고 생각하여 학습 시간을 줄이는데는 성공했지만, 여전히 작성한 코드의 양은 비슷했다. 왜 시간을 더 늘였음에도 정작 구현한 코드 양은 그 이전과 비슷한가..? 라고 고민해본 결과, 마지막과 같은 이유를 도출할 수 있었다.
피어 피드백 : 부족한 코드 설명
당신은 자신의 코드를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는가? 아쉽게도 2주차의 난 그러하지 못했다.
이번 2주차 경험 중 가장 감사한 것은 피어 피드백을 통해 내가 내 코드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항상 피어 피드백을 할 때 마다 다른사람의 코드를 읽고 분석하는 것만 집중했었는데, 이번 팀에서는 매일 내 코드를 설명하면서 난 생각보다 내 코드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현할 땐 분명 이유가 있었는데, 전체적인 코드에 대해 설명하려니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계획 없이 구현하기
사실 위의 모든 문제들의 원인은 이것으로 귀결된다. 나는 구현을 시작할 때 정확한 계획없이 구현을 시작하고 있었고, 이는 위의 모든 문제들을 발생시켰다.
계획하지 않고 구현하자 생기는 나비 효과는 아래와 같았다.
- 계속된 코드 수정
- 계획하지 않고 작성한 코드는 마치 생각없이 풀어놓은 실처럼 이리저리 흩어지다가, 그것들을 한데 엮어 사용하려는 순간 심하게 엉키었다. (??? : 네 코드는 너무 복잡해서 알렉산드로스 대왕도 못 풀겠다!!) 이로 인해 코드를 계속해서 수정해줘야 했다. 계속된 수정은 애써 효율적인 학습을 통해 미션 구현 시간을 확보한 것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 상실된 코드 목적
- 또한 코드를 계속해서 수정하면서 코드의 본래 목적을 잃게 되었다. 코드가 즉각적으로 수정되기를 반복하면서 이 코드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는지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게 되었고, 이는 결국 코드 전반의 목적 상실로 이어졌다. 목적을 알 수 없는 코드도, 여러 목적이 복잡하게 뒤엉켜있는 코드도 존재했다. 이처럼 코드의 목적을 알지 못하니 동료들에게 이 코드의 역할에 대해서도 명확히 설명할 수 없었다.
아마 내 코드를 읽는 동료들은 꽤 고생했을 것이다. (동료들아 미안해 ㅜㅠ)
TRY
Problems에 대한 해결책 중 당장 실행 가능한 것
코드 작성 전 청사진 그리기
코드를 작성하기 전 청사진을 그려보자! 전체적인 구조를 알고 코드를 작성하면 상술한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당장 시도해 볼 방법으로는 그림 그려보기, 피그잼을 통한 프로토타입 연관도 그려보기…등이 있다. 어제 잠깐 사용해봤는데, 아무래도 피그잼 프로토타입 방식을 선택할 것 같다.
종합 회고
정리해서 작성해보면, 이번주 좋았던 점은 목적을 가지고 키워드를 통해 학습하면서 학습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였던 점, 아쉬웠던 점은 전체적인 계획 없이 무작정 코드 구현을 시작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코드 작성이 이뤄졌다는 점입니다. 다음주에는 이번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한 방법인 청사진을 그려보며 코드를 구현해 볼 계획입니다.
벌써 챌린지의 절반이 완료되었네요. 3주차도 화이팅!!! 🔥🔥🔥
'Exper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스트캠프 8기 멤버십 1주차 후기 (0) | 2023.09.03 |
---|---|
[회고]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최종 회고 + 멤버십 합격 (0) | 2023.08.05 |
[회고]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8기 챌린지 1주차 (0) | 2023.07.16 |
[경험] 네이버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8기, 2차 코딩테스트 후기 (+ 최종합격) (0) | 2023.06.25 |
[경험] 네이버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8기, 1차 코딩테스트 후기 (+1차 합격) (0) | 2023.06.20 |